• Article

    Analysis of Safety Effectiveness of Village Zone Using Empirical Bayes Method

    경험적 베이즈 기법을 활용한 마을주민 보호구간 적용의 사고감소 효과분석

    MAENG, Giyoung, LEE, Dongyoun, PARK, Byung-Jung, PARK, Ho-Chul

    맹기영, 이동윤, 박병정, 박호철

    Recently, the development of improving road geometries and automobile technologies have enabled high-speed driving, and drivers passing through towns and villages may …

    최근 도로 기하구조의 직선화 개량사업과 자동차 기술의 발달로 고속주행이 가능해짐에 따라 지방부 도로의 읍·면·동 지역을 지나는 운전자들은 마을 진입을 인지하지 못해 교통사고 …

    + READ MORE
    Recently, the development of improving road geometries and automobile technologies have enabled high-speed driving, and drivers passing through towns and villages may not recognize their entrance to the village zone, resulting in a high severity of traffic accidents when it occurs. As a result, protective measures are implemented in the form of village zone to reduce pedestrian accidents and safeguard locals. The previous evaluations of the effectiveness of improvement projects have been limited to simple before and after comparisons of traffic accident frequencies or rates, which do not take into account inherent regression to the mean effects, traffic volume, and temporal trends. To remedy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has utilized the empirical bayes method to get a more accurate analysis of the reduction in traffic accidents, while also testing the significance of changes in the ratio of specific accident types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traffic accidents through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Results revealed a 28.98% decrease in all types of accidents, a 50.52% decrease in serious and fatal accidents, and a 66.89% decrease in fatal accidents. Furthermore, the analysis found that the number of vehicle-pedestrian accidents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at a 95% confidence interval, emphasizing the need for proactive installation of safety facilities to reduce pedestrian accidents when installing safety facilities in Village Zones in the future. It is also recommended to continue exploring potential sites for improvement projects to protect residents while prioritizing the maintenance of existing zones.


    최근 도로 기하구조의 직선화 개량사업과 자동차 기술의 발달로 고속주행이 가능해짐에 따라 지방부 도로의 읍·면·동 지역을 지나는 운전자들은 마을 진입을 인지하지 못해 교통사고 발생 시 심각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마을을 따라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고자 마을주민 보호구간 개선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보행자 사고를 줄이는 것이 목적이다. 이전까지의 개선사업 효과분석은 개선 전·후의 교통사고건수를 단순 비교 하였지만, 사고건수 단순비교의 경우 교통사고의 평균으로 회귀하는 경향, 교통량, 시간적 추세 등을 고려하지 못하기 때문에 효과가 과대 추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험적 베이즈 기법을 활용하여 교통사고 감소효과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였으며, 총 교통사고건수 대비 특정 유형의 사고건수 비율 변화에 대한 유의성을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을 통해 검정하였다. 그 결과, 전체 사고유형은 28.98%, 치명적인 사고(중상사고와 사망사고의 합)는 50.52%, 사망사고는 66.89%의 감소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정 유형의 사고건수가 차지하는 비율변화의 경우 95% 신뢰구간에서 차대사람 사고 비율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어 향후 마을주민 보호구간을 설치할 때 차대사람 사고를 줄이기 위한 안전시설물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설치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앞으로 지속적인 마을주민 보호구간의 개선사업의 대상지를 탐색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존 설치 구간의 유지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COLLAPSE
    29 February 2024
  • Article

    Efficiency Analysis of Local Government Road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자료포락분석을 활용한 지자체 도로교통 안전관리체계 효율성 변화 분석

    KIM, Hye Weon, HAN, Sangjin

    김혜원, 한상진

    The road safety management system (RSMS) has been evaluated since 2015 to reduce the gap of road safety performance between local governments …

    지방자치단체 간의 교통안전 수준 차이를 줄이고 전체적인 교통안전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2015년부터 도로교통 안전관리체계의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제도적 기반, 정책, …

    + READ MORE
    The road safety management system (RSMS) has been evaluated since 2015 to reduce the gap of road safety performance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eventually to improve the overall road safety performanc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e RSMS which is made up of 24 indicators in areas of institutional management, intervention, intermediate outcome and final outcome. The efficiency is calculated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method which defines the efficiency as a ratio of input and output scores in RSMS. The input is calculated using the scores of the institutional management and intervention areas, and the oupt is calculated using the scores of the final outcome score. The result shows that the average efficiency of all local governments increased from 91.0% to 94.0% between 2015 and 2019. In 2015, Sejong City and Jeollabuk-do were selected as the most efficient local governments or benchmark Decision-Making Units (DMUs). In 2019, they were changed to Ulsan, Gyeonggi-do, Chungcheongbuk-do, and Jeollabuk-do appeared. It has also turned out that Jeollanam-do has the highest difference from the benchmark DMUs, and could attain the efficiency of the benchmark DMUs if it could increase the output score by 16.88. In the further studies, the change of frontiers among DMUs between 2015 and 2019 and its implication need to be analysed using Malmquist analysis.


    지방자치단체 간의 교통안전 수준 차이를 줄이고 전체적인 교통안전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2015년부터 도로교통 안전관리체계의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제도적 기반, 정책, 중간 성과 및 최종 성과 부문에서 24개 지표로 구성된 도로교통 안전관리체계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도로교통 안전관리체계의 투입요소 점수와 산출요소 점수의 비율로 정의되는 효율성은 자료포락분석 방법론을 활용하여 계산하였다. 제도적 기반과 정책 부문의 점수를 투입요소로 사용하였으며, 산출요소로 최종성과 점수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2015년과 2019년 사이에 모든 지방자치단체의 평균 효율성이 91.0%에서 94.0%로 증가하였다. 2015년에는 세종시와 전라북도가 가장 효율성이 높은 지자체(벤치마크 의사결정단위)로 선정되었다. 2019년에는 울산광역시, 경기도, 충청북도, 전라북도로 나타났다. 또한, 전라남도는 벤치마크 의사결정단위와의 효율성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출요소 점수를 16.88점 높이면 벤치마크 의사결정단위의 효율성 수준을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의사결정단위 간의 프론티어 변화와 그 함의를 Malmquist 분석 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 COLLAPSE
    29 February 2024
  • Article

    Selection of Operation Plan Considering Travel Demand: Focusing on the Fixed-Route Transit and the Demand-Responsive Transit

    통행 수요를 고려한 대중교통 운행 방식 선정 방법에 관한 연구: 고정형과 수요응답형을 중심으로

    SEO, Sungju, KIM, Jinhee

    서성주, 김진희

    To maximize the socioeconomic benefits of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economic feasibility and eco-friendlines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ppropriate operational …

    대중교통의 경제성, 친환경성 등 사회경제적 이점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통행 수요를 고려하여 적절한 운영 제반사항이 정립될 필요가 있다. 수요가 충분히 고려되지 않는다면, 손익 …

    + READ MORE
    To maximize the socioeconomic benefits of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economic feasibility and eco-friendlines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ppropriate operational plan considering the travel demand. If not, it may lead to negative problems such as weakening service sustainability, worsening transportation equity, and increasing inconvenience in use. Furthermore, the fixed-route transit and the demand-responsive transit are different in aspects of the strengths; the former operates on pre-determined routes and timetables and the latter responds flexibly in responding to the demand. To exploit their strength, the appropriate operation plan should be determined with sufficient consideration of demand. Typically, the former is efficient where there is enough demand, while the latter is efficient where there is not enough deman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methodology for deriving an appropriate type of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among fixed-route and demand-responsive transit based on demand data and additional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To this end, travel pattern was clustered by DBSCAN based on travel characteristics data divided into three main aspects: spatial, temporal,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case analysis in Seodaemun-gu, Seoul, a total of 182 origin-destination pairs were divided into 7 clusters and 29 noises. Some specific clusters seem that the demand-responsive transit is appropriate in that they have low traffic volumes and irregular occurrence patterns, whereas the noises seem that the fixed-route transit is better in that they have enough traffic volumes and less irregular occurrence patterns.


    대중교통의 경제성, 친환경성 등 사회경제적 이점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통행 수요를 고려하여 적절한 운영 제반사항이 정립될 필요가 있다. 수요가 충분히 고려되지 않는다면, 손익 악화에 따른 서비스 지속가능성 약화, 교통 형평성 악화, 이용 불편 증가 등 부정적 문제로까지 이어진다. 나아가 사전에 정해진 노선과 배차시간표대로 운행되는 고정형 방식과 시시각각 수요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는 수요응답형 방식은 서로 장단점이 다른데, 수요를 충분히 고려하여 지역별, 시간대별 적합한 운행 방식을 결정하여야 각각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는 수요가 시공간적으로 고정적이면서 양이 많은 곳에서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반면, 후자는 수요가 적고 가변적인 곳에서 효율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전에 확보된 수요의 발생 패턴 정보와 그 외 추가적인 지역사회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기반하여 고정형과 수요응답형 중 적절한 대중교통 서비스 유형을 도출해내는 방법론을 정립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크게 공간적 특성과 시간적 특성, 사회경제적 특성 3가지로 구분한 통행 특성 데이터를 밀도 기반 클러스터링(DBSCAN)하여 통행 행태를 그룹화하였다.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사례 분석 결과, 총 182개의 기종점쌍은 7개의 클러스터와 29개의 노이즈로 구분되었다. 특정 클러스터에 속하는 기종점쌍은 통행량이 적으면서도 발생 패턴이 불규칙하다는 점에서 수요응답형 운행 방식이 적합하고, 노이즈에 속하는 기종점쌍은 통행량이 충분히 많고 그 정도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큰 변화를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고정형 운행 방식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COLLAPSE
    29 February 2024
  • Article

    Impact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User Behavior and Satisfaction on Electric Vehicle Repurchase

    인구통계적 특성, 전기차 관련 이용 행태 및 만족도가 전기차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

    KIM, Minjun, SON, Sanghoon, KO, Joonho

    김민준, 손상훈, 고준호

    Globally, carbon neutrality goals are being set and one of the measures to achieve them is the convers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

    전 세계적으로 탄소 중립 목표를 내세우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교통 부문에서 내연기관차를 전기차로의 전환이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국내의 전기차 …

    + READ MORE
    Globally, carbon neutrality goals are being set and one of the measures to achieve them is the convers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to electric vehicles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but the penetration rate of electric vehicles in Korea is still low.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d on continuous repurchase as a way to revitalize electric vehicles and propos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usage behavior and satisfaction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on factors affecting repurchase intention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pplying the ordinal logit model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ver 40s, number of electric vehicles owned, and household income (monthl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Second, in terms of usage behavior, the number of AS experience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but accumulated mileag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Third, satisfaction (charger use, mileage traveled, and vehicle oper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ought ways to increase the sales and distribution rate of electric vehicles by analyzing the empirical impact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usage behavior, and satisfaction on repurchase intention among electric vehicle owners in the Jeju region.


    전 세계적으로 탄소 중립 목표를 내세우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교통 부문에서 내연기관차를 전기차로의 전환이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국내의 전기차 보급률이 저조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기차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지속적인 재구매에 초점을 두고, 재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인구통계적 특성, 이용 행태 및 만족도를 제안하였다. 순서형 로짓모형을 적용한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적 특성에서 연령대, 전기차 보유 대수 및 가구소득(월)이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이용 행태에서는 AS 경험 횟수는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부정적 영향을 미쳤지만, 누적 주행거리는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만족도(충전기 이용, 주행거리 및 차량운행)는 재구매 의도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전기차 소유자들을 대상으로 인구통계적 특성, 이용 행태 및 만족도가 재구매 의사에 미치는 실증적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전기차 판매와 보급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COLLAPSE
    29 February 2024
  • Article

    Study on Mobility Service Operational Strategies in Transportation-Underserved Rural Through the Analysis of Public Taxi Operational Status

    공공형 택시 운행실태 분석을 통한 교통소외지역 모빌리티 서비스 운영전략 연구

    KIM, Ahreum, LIM, Seo Hyun

    김아름, 임서현

    In recent times, a population concentration in major cities has been observed, while simultaneously, rapid phenomena of low birth rates and aging …

    최근 대도시를 중심으로 인구가 밀집하는 상황에서 저출산과 고령화의 급진적인 현상은 우리나라 지방 읍면 지역의 인구 감소로 이어지고 주민들의 이동성, 접근성이 저하되는 교통소외지역의 …

    + READ MORE
    In recent times, a population concentration in major cities has been observed, while simultaneously, rapid phenomena of low birth rates and aging are leading to a decrease in the population of local towns and villages in South Korea. This trend is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areas suffering from transportation exclusion, marked by reduced mobility and accessibility for residents. To improve the mobility of residents in transportation-excluded areas, a public taxi service is being introduced. For sustainable and efficient transportation services,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demand and supply and develop appropriate service introduction strategies. This study utilizes operational data from public taxis in 32 city and county areas to analyze current operations and characteristics, and proposes operational strategies for service management plan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is higher in county areas (31.5%) than in city areas (20.4%), with the highest utilization (10.9%) of the service relative to the beneficiary population in Yecheon County, which has a high elderly population ratio. Additionally, areas with long-distance travel tend to have more single-passenger rides, as users often travel to individual destinations. Using GIS Pro to analyze boarding and alighting points, demand concentration areas, and service zones, it was found that the main boarding and alighting points were residential areas (34%), downtown (18%), and community centers (14%). Some of the demand within identified clusters could not be included within a 5 or 10-minute influence radius from the center, due to geographical features and road structures. Furthermore, most areas showed a pattern of returning at various times after morning peak hours from 8 am to 10 am. Ultimately, based on the analysis, Decision tree model was proposed that categorizes clusters based on three months of demand data and decides on the service operation model for each cluster. Such a practical strategy approach using real data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fficient and customized planning and operation of transportation services in excluded areas.


    최근 대도시를 중심으로 인구가 밀집하는 상황에서 저출산과 고령화의 급진적인 현상은 우리나라 지방 읍면 지역의 인구 감소로 이어지고 주민들의 이동성, 접근성이 저하되는 교통소외지역의 비율이 높아지게 된다. 교통소외지역 주민의 이동성을 개선하기 위해 공공형 택시 서비스가 도입 중이며 지속가능하고 효율적인 교통서비스 도입 및 운영을 위해서는 수요와 공급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서비스 도입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2개 시군 지역의 공공형 택시 운행데이터를 활용하여 운행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고 서비스 운영 계획 시 운영전략을 제시하였다. 서비스 수요 및 공급 현황을 파악한 결과, 시 지역(20.4%)보다는 군 지역(31.5%)에서 고령인구 비율이 높았고, 고령인구 비율이 높은 예천군에서 서비스 수혜 인구 대비 가장 많은 인구(10.9%)가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었다. 또한 장거리를 운행하는 지역은 주로 이용자 간 개별 목적지로 이동할 경우가 많고 이에 동승보다는 1인 탑승 형태로 이용되고 있었다. ArcGIS Pro를 활용하여 승하차 지점, 수요 밀집 지역, 서비스 영역 분석을 수행하고 시간대별 수요발생량을 도출한 결과, 주거지(34%), 시내(18%), 마을회관(14%) 순으로 주요 승하차 지점이 도출되었고, 수요밀집지로 도출된 클러스터 내 수요 중 일부는 지형적 특성, 도로 구조상 중심지로부터 5분, 10분 영향권 내에 포함되지 못하는 수요도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대다수의 지역에서 8시-10시의 오전 피크 시간 발생 후 다양한 시간대에 걸쳐 복귀하는 패턴을 보였다. 최종적으로 분석 결과를 토대로 3개월의 수요량을 기준으로 클러스터를 구분하고, 클러스터별 서비스 운영형태를 결정하는 의사결정모델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실데이터를 이용한 실질적인 운영전략 접근 방식은 효율적인 맞춤형 교통소외지역 도입 및 운영계획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COLLAPSE
    29 February 2024
  • Article

    A Study on Autonomous Vehicle Crash Hierarchy Analysis and Severity Model Based on Bayesian Probabilistic Inference

    베이지안 확률 추론 기반의 자율주행차 사고 계층분석 및 사고 심각도 모형 연구

    LEE, Songha, PARK, Juneyoung

    이송하, 박준영

    With the advancement of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technology,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is get a attention as a key component of smart …

    첨단 운전자지원 시스템 기술 고도화에 따라 자율 주행 기술은 미래의 스마트 교통 시스템 주요 구성 요소로 주목받고 있지만 꾸준히 발생하는 자율주행차의 사고로 …

    + READ MORE
    With the advancement of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technology,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is get a attention as a key component of smart transportation systems. However, verification of safety about autonomous vehicle is required due to the continuous traffic crash involving autonomous vehicles. In particular, to ensure the safety of vulnerable road users such as pedestrians as well as autonomous vehicle on handicap sections where autonomous mode is unexpectedly disengaged and the driver's response time is insufficient, this requires a technical/institutional approach and a continuous understanding for autonomous vehicle crashes. Therefore, this study used autonomous vehicle crash record data to extract impact factors from the autonomous vehicle collision reports provided by the California Department of Motor Vehicles, and used latent class analysis and ordered probit model with Bayesian probability inference to deal with the traffic crash sample. As a result, traffic crash involving vulnerable road users such as pedestrians and cyclists, scooter, mainly occur at bus stops or bicycle lanes where road users cross, and the traffic crash severity increases when light condition is dark street. On the other hand, for the traffic crash which is not involve vulnerable road users, the crash classes were divided and the traffic crash severity increased depending on weather conditions, autonomous vehicle movement, day and night, etc. When considering unobserved heterogeneity in geometry and weather conditions, it was found that the the variance size was smaller and the confidence interval was narrower based on the Bayesian ordered probit model with random effects unlike fixed effects. Specifically, the traffic crash severity increased mainly in movements including turns around signalized intersections and for the other crash, which does not include the vulnerable road users. This means that intersections require an exploring of vehicle movements due to the cross to the various road users, complexity of traffic flow, and unpredictability of vehicles and pedestrians. By developing a detailed autonomous vehicle safety evaluation scenario on these study, it is expected that more efficient and reasonable safety evaluation of level 4 to level 5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will be possible.


    첨단 운전자지원 시스템 기술 고도화에 따라 자율 주행 기술은 미래의 스마트 교통 시스템 주요 구성 요소로 주목받고 있지만 꾸준히 발생하는 자율주행차의 사고로 인해 안전성에 대한 체계적인 검증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예상치 못하게 제어권이 해제되어 운전자의 대응 시간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적 범위라고 칭할 수 있는 핸디캡 구간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도시부 도로에서 자율주행차뿐만 아니라 보행자와 같은 취약한 도로 이용자들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제도적 접근과 자율 차 사고 원인에 대한 지속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캘리포니아 자동차관리국에서 제공하는 자율 차 사고 보고서 중 세부 영향 요인과 변수를 추출하기 위해 사고 세부 기록 데이터를 이용하였고 사고 표본 보완을 위해 베이지안 확률추론 기반의 잠재 계층분석과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통해 계층별 사고 심각도와 설명 변수 간 상관성을 설명하였다. 그 결과 보행자, 자전거 이용자와 같은 취약한 도로 이용자와 관련된 사고는 주로 도로 이용자들이 교차가 발생하는 버스정류장 또는 자전거 도로가 있는 공간에서 발생하고 어두운 조명시설일 때 사고 심각도가 증가하였다. 반면에 나머지 사고의 경우, 기상 조건, 자율 차의 움직임, 주야 등에 따라 계층이 세분화되고 사고 심각도가 증가하였다. 특히, 그리고 기하구조와 기상 조건에 대한 이질성을 고려하였을 때, 고정 효과에 비해 임의 효과를 이용한 베이지안 순서형 프로빗 모형 경우, 분산의 크기가 작아져 신뢰구간 범위가 좁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세분화된 자율 차 안전성 평가시나리오를 구성하면 Level 4-Level 5 수준의 자율 주행 기술에 대한 보다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안전성 평가가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 COLLAPSE
    29 February 2024
  • Article

    Analysis of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City Bus Industry: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Semi-Public and Private Operating Systems

    시내버스 운송업의 운영효율성 분석 : 준공영제와 민영제 비교를 중심으로

    CHOI, Seunghyun, CHO, Gyu Seok, YU, Yeonseung, DO, Myung Sik

    최승현, 조규석, 유연승, 도명식

    Local governments on a private operating system basis are more difficult than those semi public operating system, indicating that appropriate evaluation is …

    최근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시내버스 업계의 경영애로는 더욱 가중되었다. 특히 준공영제로 운영중인 지역 보다 민영제로 운영중인 지역의 어려움이 더욱 커진 것으로 나타나, 시내버스 …

    + READ MORE
    Local governments on a private operating system basis are more difficult than those semi public operating system, indicating that appropriate evaluation is needed on the impact of differences in the city bus operating system on the city bus transportation industry. Therefore, in this study, DEA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analysis were performed on 16 local governments in Korea to assess the impact of city bus operating system on the urban bus industry. First, for analysis, domestic local governments considering the urban bus operating system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emi-public operating system and private operating system. Input variables for analysis include four variables: number of drivers, number of employees, operating costs, and subsidies, and two output factors including number of passengers and revenue were considered. Next,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urban bus industry was analyzed using the CCR/BCC model, which is the DEA's representative analysis methods, and the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model. The result showed that first, regardless of COVID-19, the operation efficiency of semi-public system was higher than that of private system. Also, regions with a large number of passengers, such as Ulsan and Gyeonggi, even though they have private operating systems, showed high operation efficiency. Second, in order to secure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urban bus industry, it was found that an additional 11.8% of drivers, 13.1% of employees, 11.3% of operating costs, and 14.0% of subsidies are needed per bus. Third, due to COVID-19, productivity was found to have decreased by 7% in the regions with semi-public operating system and 14% in the regions with private operating system. In particular, the rate of productivity decline in private operating systems was found to be about twice as large as that in the regions with semi-public system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helpful in establishing efficient operation plans for the current urban bus industry by identifying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urban bus industry and establishing policies to ensure operation efficiency.


    최근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시내버스 업계의 경영애로는 더욱 가중되었다. 특히 준공영제로 운영중인 지역 보다 민영제로 운영중인 지역의 어려움이 더욱 커진 것으로 나타나, 시내버스 운영체제가 시내버스 운송업에 미치는 영향력 등에 대한 적절한 평가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내버스 운영체제가 시내버스 운송업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국내 16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자료포락분석과 맘퀴스트 생산성지수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분석을 위해 국내 지자체를 시내버스 운영체제를 고려하여 준공영제와 민영제 지역의 2개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분석을 위한 투입변수로는 운전자수, 종사자수, 운영비용, 재정지원금 4개 변수를, 산출요소로는 승객수와 운송수익 2개 변수를 고려하였다. 다음으로 DEA의 대표적인 분석 방법인 CCR/BCC 모형과 맘퀴스트 생산성지수 모델을 활용하여 시내버스 운송업의 운영효율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는 첫째, 코로나19에 상관없이 민영제 지역 대비 준공영제 지역의 운영효율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민영제 지역임에도 울산, 경기 등 수송규모가 큰 지역은 운영효율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시내버스 운송업의 운영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버스 1대당 운전기사 11.8%, 종업원 13.1%, 운영비용 11.3%, 재정지원금 14.0%가 추가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19로 인하여 준공영제 지역은 7%, 민영제 지역은 14% 생산성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민영제 지역은 준공영제 지역 대비 생산성 감소율이 약 2배 정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내버스 운송업의 운영효율성을 파악하고 운영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함으로써 현재 시내버스 운송업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 수립에 본 연구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COLLAPSE
    29 February 2024
  • Article

    Analyzing Influence of Individual Attitudes Toward Environment on Intention to Use Eco-Friendly Routes

    개인의 환경적 성향이 친환경 경로 이용 의향에 미치는 영향 분석

    SHIN, Songhyeon, LEE, Yoonhee, LEE, Gyeongjae, CHOO, Sangho

    신송현, 이윤희, 이경재, 추상호

    As problems caused by climate change become more serious, various policies and strategies have been established around the world to respond. The …

    기후변화로 인한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이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전략을 수립하였다. 수송부문의 주요 탄소저감 정책인 전기차 보조금 정책은 그 …

    + READ MORE
    As problems caused by climate change become more serious, various policies and strategies have been established around the world to respond. The electric vehicle subsidy policy, which is a major carbon reduction policy in the transportation, appears to have minimal effect, meaning that carbon is not being reduced effectively.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not only a long-term transition to future mobility, but also a plan to reduce carbon emissions by efficiently using currently used fossil fuels. A representative method for this is eco-friendly routes. In this study, in order to successfully introduce eco-friendly routes that are not currently in service in Korea,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eco-friendly routes were analyzed. Data were collected using SP surveys, and the eco-friendly route attributes and individual socioeconomic, travel, and attitudes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the use of eco-friendly routes were analyzed by applying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As a main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crease in travel time of the eco-friendly route compared to the shortest rout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the eco-friendly route, and the amount of carbon reduction had a positive effect. In addition, in short-distance commuting situations, middle-aged people in their 40s older showed a high willingness to use eco-friendly routes and the higher the attitude for “carbon reduction knowledge” and “carbon reduction practice”, the higher the willingness to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n effective eco-friendly route service introduction strategy and transportation planning for Net-zero.


    기후변화로 인한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이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전략을 수립하였다. 수송부문의 주요 탄소저감 정책인 전기차 보조금 정책은 그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 효과적으로 탄소가 감축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장기적인 측면의 미래모빌리티로의 전환뿐만 아니라,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석연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탄소 배출량을 저감하는 방안이 필요한 현황이다. 이에 대표적인 방법이 친환경 경로(Eco-friendly routes)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 서비스되고 있지 않은 친환경 경로의 성공적인 국내 도입을 위해, 친환경 경로 이용 의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SP 조사를 활용하여 설문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친환경 경로 이용에 미치는 친환경 경로 속성, 개인의 사회경제적, 통행, 성향 특성을 이항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 기존 경로 대비 친환경 경로의 통행시간 증가량은 친환경 경로 이용 의향에 음의 영향으로, 탄소 저감량은 양의 영향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근 단거리 상황에서, 40대 이상의 중장년층들의 친환경 경로 이용 의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탄소저감지식”, “탄소저감실천” 성향이 높을수록 이용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효과적인 친환경 경로 서비스 도입 전략 수립과 탄소중립을 위한 교통계획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COLLAPSE
    29 February 2024